〈대동강철교〉
자유(自由)란 무엇인가?
자유(自由)란 무엇인가?
말로는 실감할 수 없는 것이다.
자유(自由)란 무엇인가?
공짜로 그저 주어지는게 아니다.
자유(自由)란 무엇인가?
목슴을 담보하지 않고는 결코 얻어 낼 수 없는 것이다.
아! 대동강철교(大同江鐵橋)!. 아! 한 많은 대동강! 일제가 태평양전쟁과 2차대전을 위해 우리땅에 임의로 건설한 다리가 아니던가! 북한군의 불법남침으로 시작된 6.25한국전쟁으로 3일에 수도 서울을 빼앗기고 낙동강까지 밀리는 풍전등화의 위기를 당했으나 유엔군의 도움으로 38선을돌파하여 압록강까지 진격, 통일을 목전에 두었으나, 아! 수십만 중공군이 인해전술로 한국전쟁에개입하였다. 1950년 12월4일 유엔군은 적도 평양을 포기하고 철수하여만 했다. 대동강 북쪽은 전쟁(戰爭)으로 부터 가장 안전한 곳인데도 불구하고, 그곳에 거주하는 북한주민들이 보따리 하나 달랑 메고서 자유(自由)를 찾아 북한을 탈출, 남(南)으로 서울로 피난길로 밀려 들었다.
아! 자유(自由)가 무엇인가? 저 파괴된 교량의 난간을 붙잡고 필사의 탈출을 감행한 것이다. 그때가 1950년 12월 12일이다. 아! 자유(自由)는 목슴보다 더 소중한 것임을 알았다. 생사(生死)를 걸고 탈출하는 저 모습, AP사진기자 막스 데스포가 포착, 전 세계(世界)로 타전 하였다. 공산주의의 불법남침에 왜, 유엔군이 목슴을 걸고 싸워야 하는지를 전 세계에 분명하게 알렸다. 자유(自由)가 목슴보다 더 소중하다는 것을, 북한(北韓)의 우리 동포가 전 세계(世界)를 향해 절규하고 외쳤던 것이다.
아!, 사진 한 장은 군대(軍隊)보다 더 강했다. 저- 사진 한 장으로 막스 데스포는 1951년 퓰리처상을 받았다. 우리는 목슴보다 더 중요한, 자유(自由)를 양산하는 민주주의(民主主義)를 굳건히 지키고, 나라를 튼튼하게 만들어 가야한다.
▶ 여기 노래 가사 하나를 적어 봅니다.
특별히 실향민과 6.25전쟁을 경험했거나 동시대를 살았던 모든 대한민국 국민을 위해서...
〈이인호작사. 한복남 작곡. 손인호 노래〉
한 많은 대동강
한 많은 대동강아 변함없이 잘있느냐
모란봉아 을밀대야 네모양이 그립구나
철조망이 가로막혀 다시 만날 그때까지
아----소식을 물어본다.
한 많은 대-- 동강아
이 노래는 가사많으로도 노래가 가능하리 많큼 가사속에 음정과 박자가 있는듯 합니다.
모두 한번씩 불러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끝.
2017년 10월 23일
레토코리언스
대표강사 하 종 일
'레토코리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토, 특강 홍보 (0) | 2018.06.13 |
---|---|
서해 최북단 백령도 (0) | 2018.05.11 |
북한의 추가 도발 징후(퍼온사진) (0) | 2017.10.12 |
레토코리언스 상징마크 (0) | 2017.09.27 |
눈이 큰 사람과 눈이 작은 사람 이야기 (0) | 2017.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