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특강2018 조선왕조에서 종묘사작은 무엇인가 - 홍보편 [특강2018] 인문학 특강 「조선왕조에서 종묘사직은 무엇인가」 Ⅱ. 본 론 10. 사직단 발굴현장, 전사청 권역 (1) 문화재청에서는 2015년 11월 20일(금) 14:00 사직단 발굴현장에서 발굴결과 보고회가 있었습니다. (2) 아래 1번 사진은 제정(우물)입니다. 우물을 제례 목적으로 설치되었을 때 제.. 사직단보기 2018.07.21
춘관통고를 통해서 본 사직단 조영 조선의 사직단 춘관통고(길례-단제) 오른쪽에 문서는 조선왕조 때 조영된 사직단에 대해서 단과 조영물의 제원등을 기록해 놓은 책으로 정조 때 예조에서 발행한 《춘관통고》로 길례 중에서 사직단의 단제에 관해서 기술되었다. 그 내용 중에 제원을 생략하고 중요한 내용을 요약하면, .. 사직단보기 2017.11.17
사직의 神이 무엇인가? 社稷의 神이 무엇인가? 주례 고공기에서 이르기를 누구든지 나라를 세우는 자는 종묘와 사직단과 법궁(대표궁궐)을 세워야 한다고 천명했다. 조선왕조의 사직단社稷壇은 좌묘우사左廟右社 원칙에 따라 조선의 법궁, 경복궁 서西쪽에 위치하여 북향北向하고 있다. 오른쪽에 토지신을 모.. 사직단보기 2017.09.22
조선왕조에서 종묘사직은 무엇인가? 지난 5월, 국민은행 직원분들과 사단법인 예올에서 모집한 자원봉사자 일반인 학생분들을 모시고 조선왕조에서 종묘사직은 무엇인가에 대해서 해설하는 중입니다. 종묘사직은 기본적으로 나라의 제례시설입니다. 종묘는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魂」을 모시고 제사지내는 사당이.. 사직단보기 2017.06.03
사직(社稷壇))을 지켜야 한다. Ⅰ개 요, 종묘(宗廟)는 왕조를 상징하는 정신적인 공간이요, 사직(社稷)은 국가를 상징하는 땅이요, 백성 그 자체입니다. 하여 종묘·사직은 나라를 상징하였습니다. 일제강점기 종묘는 일제의 설득과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있었으나 사직은 지엄한 곳이였습니다. 이 지엄한 곳을 두고서야.. 사직단보기 2017.02.04
2017년 정유년 새해 첫 해설 (1월 2일) 2017년 첫 관람객 ! 파워피티 임직원들에게 해설하는 제 모습입니다. 사진을 보내주신 조혜민 마케팅팀장님 감사합니다. 파워피티 관람객은 제게는 연누계1,738회차/ 2017년- 첫번째 손님입니다. 행운과 건승을 기원합니다. 레토코리언스 상징마크 레토코리언스 대표강사 하 종일 사직단보기 2017.01.05
조선왕조 사직단, 조영철학 고찰 [조선왕조 사직단, 조영철학 고찰] 백성은 땅이 없으면 서 있을 수 없고, 곡식이 없으면 먹고 살 수 없으므로 제단을 만들어 사(社)와 직(稷)에 제사 지내고, 땅은 워낙 광대하므로 일일이 다 경배할 수 없어 단을 쌓아 제사 지낸다 하였다. 땅은 오행적 공간구조로 구축되었다 하였다. .. 사직단보기 2016.10.29
문화유산 현장체험(사직단) ☞ 사직이 무엇입니까? 제단은 왜 내모이고, 3층입니까? 이곳 사직단(社稷壇)은 조선시대 때, 백성들의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기위하여 임금님이 백성의 대표가 되어 토지신(社)과 곡식신(稷)을 모시고 제사 지내던 제단(祭壇)이다. 〈 2016년 6월 4일〉 ☞ 사(社)가 왜 토지(土地)신(神)인가? .. 사직단보기 2016.06.15
인문학 특강, 조선왕조에서 종묘사직은 무엇인가 - 8 [특강2018] □ 강사소개(시인.강사) 河 宗一 인문학 특강 「조선왕조에서 종묘사직은 무엇인가」 [사직단 발굴현장, 제례 준비공간 전사청 권역] 《문화재청에서는 지난 2015년 11월 20일(금) 14:00 사직단 발굴현장에서 발굴결과 보고회가 있었습니다》 1. 아래 1번 사진은 제정(우물)입.. 사직단보기 2015.11.21
有國有家立社에 대하여 論하다. 『有國有家立社에 대하여 論하다』 나라가 있고 집이 있으면 누구나 다 사직(社稷)을 세운다(立社)라는 글귀다. 1. 유국입사(有國立社) 나라가 있으면 사(社)를 세운다. 나라의 사(社)는 무엇인가? 제가 통치하거나, 제후가 통치하는 사(社)를 의미하거나, 또는 지방수령한테 위임한 사(社).. 사직단보기 2015.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