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강2018]
인문학 특강 「조선왕조에서 종묘사직은 무엇인가」
Ⅱ. 본 론
5. 사직단 조영(春官通考)
(1) 사직단 조영철학
■ 원위사직, 사社는 토지신이고 稷직은 곡식신이다.
■ 단은 도성내 서부 인달발에 있다.
■ (사직단 북향기준) 사단은 동쪽에 직단은 서쪽에 있다.
■ 양단은 각방이 2장5척이고 고가 3척이다
- 이하 제원 생략
《식수방색. 도이황토. 사유석주》
조선의 사직단 | 춘관통고(길례-단제) |
6. 조영철학 주요내용
(1) 개요 춘관통고에는 조선왕조 때 조영된 사직단에 대해서 단과 조영물의 제원등을 기록해 놓은 책으로 정조 때 예조에서 발행한 《춘관통고》로 길례 중에서 사직단의 단제에 관해서 기술되었다. 내용 중에 제원을 생략하고 중요한 내용만을 요약하면, 사직이란 토신과 곡신이다. 단(壇)은 도성내 서부인달방에 있다. (社)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