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한국전쟁의 배경과 원인〉
Ⅰ. 개 요
6.25한국전쟁(작성자의 표현)은 현대사의 시작점에서 동북아 한반도에서 벌어진 전쟁으로
남북 당사자를 포함하여 19개국이 참전한 현대사에서 그 규모를 찾기 어려운 전쟁이 한반도에서 일어났다. 우리 국민에게 절망과 고통으로 기억되고 있는 6.25한국전쟁을 기억하고 교훈으로삼아서 다시는 이땅에서 이같은 전쟁이 있어서는 안될 것이며 전쟁을 피할 수 없다면 싸워서 당연 승리하여 민주주의를 지켜야 할 것에 나의 경험과 소견을 정리해 보았다. 2차대전의 가해국이자 전범국인 일본은 분할되지 않은 채 남아 있고 피해국인 우리나라가 왜, 분할된 째로 남아 있는 것은 또 무엇인가? 나는 그것이 늘 내 마음속에 궁금증이었다. 그래서 6.25전쟁이 아닌 6.25한국전쟁이라는 내 방식의 전쟁명칭을 내걸고 도대채 6.25한국전쟁의 배경과 원인이 무엇인지를 탐구하기로 했다.
Ⅱ. 전쟁의 배경과 원인
1. 미.소는 오월동주(吳越同舟)의 연합국으로 종전(대일전) 후 분리, 대립이 예고된
같은 배에탄 미래의 적(敵)으로 스탈린은 친구가 될 수 없는 민주주의의 영원한 적국의
괴수이다.
2. 소련의 좌,꼬리아 우,크림 전략으로 대서양, 태평양 진출을 국가 전략으로 세우고 부단한
정치적 군사적 황동을 전개 모색,
3. 스탈린은 루스벨트의 심중을 읽고 있었고, 루스벨트는 스탈린의 야심을 간파하고 있었다
(둘은 서로 주고 받았다.)
4. 소련은 종전 마지막 협상 장소의 중요성 인식, 회담장소를 자국 영토내(얄타)로 유치,
전략략적 우위 선점의도 표출
5. 소련은 대일전 승리 보장을 위한 최적 전략국으로 부상됨에 따른 권리 획득에 고무,
만주와 한반도 진출의 호기 탐색
6. 미국이 일본을 단독 점령한 것에 대해 속내를 비취지는 안했으나 내심은 한반도 공략이라는 스탈린의 대안 카드를 가지고 있었다.
7. 중국의 국공내전에서 모택동의 공산정권이 승리하자 대 중 경제지원과 한반도 적화를 위한 북한의 군사력을 확충, 가속화
8. 미국은 종전 후 국방예산 대폭 삭감으로 현역 감축에 따라 한반도 관리 능력 부족,
한반도에서 소련과 중국과의 마찰 회피 전략 유지
9. 소.중관계를 고려, 중국에 유화 정책 표시(미 극동 방위선)
10. 하지사령관 통치하 남한사회의 정치.사회는 혼란, 남북한 군사력은 심각한 불균형 상태로 전쟁발발 징후
11. 한반도에서 미소 양군이 철수, 무력적화 통일의 시기가 성숙 되었다고 판단, 중공의 참전지원 결의를 최종적으로 확인. D데이를 결정 한건으로 보인다.
12. 소련의 전략(스탈린)은 거대한 잠재력을 갖고있는 미국과 중공이 한반도에서 전력과 국력을 소진함으로서 상대적, 절대적 지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중공과 북한을 관리).
Ⅲ 요 약/결론
1. 미.소의 상반된 전략이 한반도에서 상충했다.
2. 전쟁의 배경과 원인을 축약하면 「한반도가 차지하는 지정학적 특성」이다라고 요약
하고싶다.
3.「부국강병을 위한 국가운영」이 부실했다.
4. 자유주의적 민본사상을 이끌 「단계적인 정치발전」이 부진했다. 끝.
2014년 12월 9일
레토코리언스
대표강사 하 종 일
'레토코리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에 명나라 주원장의 전략이 숨어 있었다? (0) | 2015.03.01 |
---|---|
세기의 작전 "인천상륙작전" (0) | 2015.01.09 |
1.4후퇴는 왜 일어난는가? (0) | 2014.10.21 |
조선왕조에서 종묘와 사직은 무엇인가? (0) | 2014.10.14 |
5성장군 김홍일 (0) | 2014.09.25 |